반응형
개발자의 성장
IT/Information2022. 8. 31. 11:12개발자의 성장

회사에서 성장하기 업무를 소비하지 말자 그냥 시키는 것을 그냥 하던 대로 그냥 빨리 해치워 버려야 한다는 생각으로 그냥 일단 돌아가면 되도록 그냥 개발을 하는 것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누군지는 해주겠지(위험) 이렇게 업무를 개발을 하지 말자 책임감을 가지고 하자 질문을 잘하자 배울 점이 많은 동료가 있는 것은 정말 큰 메리트 하지만 이것을 활용하지 못한다면 아무 의미 없음 회사의 업무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님 이 점을 최대한 활용 질문하는 법 충분한 구글링(검색)을 먼저 하자 사전 준비(질문 정리) 현재 발생한 상황 정리 자신의 시도들을 정리 최종적으로 Yes / No로 대답할 수 있도록 정리 그럴 수 없다면 자신의 결론에 대한 의견을 답할 수 있도록 정리 자신의 수준을 아는 사람에게 질문하자(중요) 문서..

com, net, co.kr의 차이는?
IT/Information2022. 8. 29. 22:51com, net, co.kr의 차이는?

사용 com(company) : 회사의 도메인에 씁니다. net(network)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의 도메인에 씁니다. co.kr(company korea) : 회사의 도메인에 씁니다.(한국) 인터넷이 미국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도메인도 미국이 먼저 선점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국가들은 .kr 처럼 국가고유 도메인을 추가하여 쓰게 되었습니다. 일본은 jp, 영국은 uk, 중국은 cn 등이 다 그런 것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co.kr, com : 영리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의 홈페이지를 나타내는 말 or.kr, org : 비영리기구 ne.kr, net : 네트워크 관련 회사, 혹은 통신 관련 회사를 나타내는 말 하지만 or,org 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고 보면 됩니다.

[Git] 커맨드 명령어
IT/Git2022. 8. 29. 13:16[Git] 커맨드 명령어

설정 확인 $ git config --list 계정 확인 $ git config user.name $ git config user.email 계정 변경 $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 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 email" Git Create $ git init $ git add README.md $ git commit -m "first commit"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username/repositoryName $ git push -u origin master 현재 master 브랜치를 push 할 때 origin의 master 브랜치로 푸시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이클립스에서 Git 사용법
IT/Git2022. 8. 27. 21:51[Git] 이클립스에서 Git 사용법

기존에는 사내에서 개발할 때 SVN으로 형상관리를 하였는데, 이번에 개인 공부도 하고 프로젝트로 만들다 보니 GitHub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GitHub는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며 여러 가지 프로젝트 진행을 원활하게 하는 도구를 함께 제공하는 이점이 있어서 사용하였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웹 프로젝트를 이클립스로 개발하고 있어 이클립스와 GitHub를 연동하였습니다. 이제 연동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원격 저장소 생성 먼저 공식 사이트인 https://github.com/ 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하고 "Start a project"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화면이 나옵니다. 원격 저장소 이름을 입력하고 다른 것은 수정하지 말고 "Create repository"..

도메인이란
IT/Information2022. 8. 25. 22:28도메인이란

도메인 이름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에 부여되는 교유의 문자 주소'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영어로는 DNS(Domain Name System)라고 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려면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IP 주소는 기억하기가 힘듭니다.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서 쉽게 사이트의 주소를 기억하고 여기서 좀 더 나아가서 사이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바로 '도메인 이름'입니다. 도메인은 각 컴퓨터 고유의 IP주소에 대응되는 문자로 된 인터넷 주소입니다. EX) 구글(google) 사이트 예 입니다.google . co . kr => 소속기관이름 . 소속기관 분류 . 소속국가 도메인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됩니다.(..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