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Java 8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FiViC%2FbtsBl5ZVkto%2FidTh6BBRrXR7nS3WhklQTK%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Java 8 버전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AVA 설치 yum을 이용해서 설치를 합니다. [root@localhost ~]# sudo yum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버전 변경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Java 버전을 8로 변경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선택 화면에서 Java8을 선택합니다(1 입력). [root@localhost ~]# sudo /usr/sbin/alternatives --config java 확인 현재 버전이 Java8로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ot@localhost ~]#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8.0_312" [root@local..
![[CentOS] 압축 및 해제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i96J%2FbtsBq1IYzIP%2FIKjPVzX8sK7caZTQCccub1%2Fimg.png)
압축tar 파일 압축tar -cvf [파일명.tar] [압축할 파일 또는 폴더명]예) tar -cvf test.tar test/tar.gz 파일 압축tar -zcvf [파일명.tar.gz] [압축할 파일 또는 폴더명]예) tar -zcvf test.tar.gz test/압축 해제zip 파일 압축 풀기unzip [파일명]unzip [파일명] -d [폴더경로]예) unzip test.ziptar 파일 압축 풀기tar -xvf [파일명.tar]예) tar -xvf test.tartar.gz 파일 압축 풀기tar -zxvf [파일명.tar.gz]예) tar -zxvf test.tar.gztar 압축 옵션옵션설명-ctar로 묶기-v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f파일을 묶도록 지정 (반드시 추가되어야..
![[CentOS] yum을 이용한 rpm 패키지 다운로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d1ll%2FbtsBuoi3VuR%2FEEPFcYZtj4KQTbHFkpC9e1%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yum을 이용한 rpm 패키지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yum-downloadonly 패키지 이용 yum-downloadonly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yum install yum-downloadonly $ yum install [패키지명] -y --downloadonly --downloaddir=[다운로드 경로] 사용 예제입니다. $ yum install dotnet-sdk-5.0 -y --downloadonly --downloaddir=/home/rpm/download yumdownloader 이용 yumdownloader 명령어가 있는 yum-utils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yum install yum-utils $ yumdownloader --downloadonl..
![[Kubernetes] 명령어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qlnvs%2FbtsBqsADy29%2Fuh0Wr8HkDiUEbLoWzk8QU1%2Fimg.png)
명령어들 # 생성 kubectl create -f test.pod.yaml # 중지 및 삭제 kubectl delete pod test --grace-period=0 --force kubectl delete service test # node 정보 확인 kubectl get nodes # pod 확인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 서비스 확인 kubectl get svc # 배포 확인 kubectl get deployments # 상세 정보 확인 kubectl describe pods # 개별 상세 정보 확인 kubectl describe pod
![[Docker] 명령어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V4XA%2FbtsBvU24kbL%2FQITMTX5yXOm3htw4MVdkLk%2Fimg.png)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들 명령어 설명 docker ps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 목록 docker ps -a 전체 컨테이너 목록 docker ps --no-trunc 컨테이너 정보 전체 표시 docker logs [컨테이너명 or ID] 로그 확인 docker exec -i -t [컨테이너명 or ID] /bin/bash 컨테이너 내부 셸 접속 docker rm [컨테이너명 or ID] 컨테이너 삭제 docker rm -f [컨테이너명 or ID] 컨테이너 강제 삭제 docker commit [옵션] [컨테이너명] [이미지명]:[태그] 컨테이너 커밋 # 컨테이너 압축 # export의 경우 컨테이너를 동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파일이 압축됨 docker export [컨테이너명 or ID] > [파일명] doc..
![[CentOS] Cmake 설치 및 사용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gVDNr%2FbtsBusS7zzr%2FgjFarK2GVHG3d75xp7Szmk%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Cmake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운로드 https://cmake.org/download/ 페이지를 가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합니다. 현재 날짜 기준으로 3.19.3 버전입니다. [hgko@localhost ~]$ sudo su [root@localhost ~]$ cd /usr/local/src [root@localhost src]$ wget http://www.cmake.org/files/v3.19/cmake-3.19.3.tar.gz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해제를 합니다. [root@localhost src]$ tar -zxvf cmake-3.19.3.tar.gz 설치 /usr/local 경로의 bin 폴더에 설치가 됩니다. [root@localhost src]$ ..
![[CentOS] 유용하게 쓰는 명령어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UMiOn%2FbtsBl7wKqPl%2F6KKItg1AusEBymEgpS8qH1%2Fimg.png)
유용하게 쓰는 명령어들 명령어 설명 source /etc/profile profile 적용 free -h 메모리 용량 확인 dh -h 디스크 용량 확인 nproc CPU 코어 수 확인 pwd 현재 경로 확인 chmod -R 755 [폴더 or 파일] 사용 권한 변경 chown -R root:root [폴더 or 파일] 소유자와 그룹 변경 ps -ef | grep [프로세스명] 프로세스 확인 rpm -qa | grep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 확인 kill -9 [프로세스ID] 프로세스 삭제 mv [파일명] [변경할파일명] 파일명 바꾸기 mv [폴더명] [변경할폴더명] 폴더명 바꾸기 pgrep -f [파일명] 프로세스 id만 추출 # 특정 파일 제외하고 삭제 find ./ ! -name '*.h' -ex..
![[CentOS] Nginx 설치 및 사용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dBZb%2FbtsBmSTLTAp%2FcOpMcVgHD10sfmFvZMwdyk%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Nginx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ginx 저장소 추가 yum 저장소에는 nginx 라이브러리가 없기 때문에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hgko@localhost ~]$ sudo vi /etc/yum.repos.d/nginx.repo /etc/yum.repos.d 경로에 nginx.repo 파일을 추가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7/$basearch/ gpgcheck=0 enabled=1 설치 저장소를 추가하였다면 설치를 합니다. [hgko@localhost ~]$ sudo yum install -y nginx 방화벽 포트 개방 웹서버의 8080 포트를 ..
![[CentOS] PM2 설치 및 사용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CXpR%2FbtsBuzLpslZ%2FWA0eTLNlEaunmrmhP9mM40%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PM2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ode.js는 단일 CPU 코어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CPU 개수만큼 멀티코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PM2(Process Manager 2)를 설치하고 사용하였습니다. 설치 먼저 npm 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여 설치합니다. [CentOS] Node.js 및 NPM 설치 리눅스 환경에서 Node.js 와 NPM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운영환경 CentOS 7.6 저장소 추가 설치하려는 Node.js 버전을 확인하여 NodeSource yum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NodeSource Node.js Binary Distr hgko-dev.tistory.com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p..
![[CentOS] 아파치 톰캣(Tomcat) 설치 및 사용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IbGsk%2FbtsBqzzaVMy%2F4L9W3T5HycHtBjZ5kYudG1%2Fimg.png)
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톰캣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치 톰캣(Tomcat) 이란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또는 웹 컨테이너)만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이다. 톰캣은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자바 환경을 제공하여 자바서버 페이지(JSP)와 자바 서블릿이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톰캣은 관리툴을 통해 설정을 변경할 수 있지만, XML 파일을 편집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톰캣은 HTTP 서버도 자체 내장하기도 한다. 출처 : 위키백과 다운로드 http://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8/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합니다. [hg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