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ntOS] 사용자 계정 관리
DevOps/Linux2022. 12. 17. 22:01[CentOS] 사용자 계정 관리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자 계정 조회, 추가, 수정,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조회 모든 사용자를 출력합니다.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 사용자 계정 확인 root와 useradd 또는 adduser 명령어를 통해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출력합니다. $ grep /bin/bash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hgko:x:1000:1000:hgko:/home/hgko:/bin/ba..

리눅스 명령어
DevOps/Linux2022. 12. 15. 15:00리눅스 명령어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령어 설명 cdcd ..cd -cd ~cd /cd [path] 디렉토리 이동 cp [path] [target] -R 파일 복사 tar cvfz backup.tar.gz [target] tar 로 압축 tar cvfz backup.tar.gz /test --exclude "/test/backup" 특정 디렉토리 제외하고 tar 로 압축 tar xvfz backup.tar.gz 압축 풀기 which [command]예) which find 특정 명령어의 위치 source /etc/profile 환경 설정 적용 find / -name [파일명]예) find / -name 'test' 파일 찾기 ls -al 디렉토리 조회 du -skh 디렉토리 용량 확인 d..

[CentOS] Service 등록 및 실행 방법
DevOps/Linux2022. 11. 15. 20:51[CentOS] Service 등록 및 실행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Tomcat을 구동하는 서비스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ervice 파일 생성 /etc/systemd/system/ 위치에 service 파일을 생성합니다. $ sudo vi /etc/systemd/system/tomcat-server.service [Unit] Description=TOMCAT SERVER Service After=network.target syslog.target [Service] Type=forking User=root Group=root ExecStart=/usr/local/tomcat-server/bin/startup.sh ExecStop=/usr/local/tomcat-server/bin/shutdown.sh [Install] Wante..

[CentOS] MariaDB 설치 방법
DevOps/Linux2022. 11. 8. 14:40[CentOS] MariaDB 설치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MariaDB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riaDB 란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MySQL의 라이선스 상태에 반발하여 만들어졌으며, 배포자는 몬티 프로그램 AB와 저작권을 공유해야 한다. 위키백과 MariaDB 저장소 추가 yum 저장소에는 MariaDB 라이브러리가 없기 때문에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root@localhost ~]$ vi /etc/yum.repos.d/MariaDB.repo /etc/yum.repos.d 경로에 MariaDB.repo 파일을 추가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 MariaDB 10.4 CentO..

[CentOS] alias 등록 방법
DevOps/Linux2022. 10. 14. 20:37[CentOS] alias 등록 방법

alias 란 alias는 별칭이라는 뜻으로 리눅스에서 alias는 사용자가 명령어를 다른 이름으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쉘 내부 명령어를 말합니다. 이 alias를 통해서 일일이 입력하기 번거로운. 길이가 긴 명령어를 간단한 이름으로 바꿔서 등록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alias 확인 현재 등록된 alias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lias alias cp='cp -i' alias egrep='egrep --color=auto' alias fgrep='fgrep --color=auto' alias grep='grep --color=auto' alias l.='ls -d .* --color=auto' alias ll='ls -l --color=auto' alias ls='ls -..

[CentOS] Tomcat 다중 설치 및 운영 방법
DevOps/Linux2022. 10. 14. 20:30[CentOS] Tomcat 다중 설치 및 운영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Tomcat을 다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mcat 설치 이전에 작성된 글을 보면서 Tomcat을 설치합니다. [CentOS] 아파치 톰캣(Tomcat) 설치 및 사용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아파치 톰캣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치 톰캣(Tomcat) 이란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서블릿 컨테이너(또는 웹 컨테 hgko-dev.tistory.com 설치된 Tomcat 폴더를 서로 다른 이름의 폴더로 복사합니다. - tomcat1 : /usr/local/tomcat_1 - tomcat2 : /usr/local/tomcat_2 catalina.sh 파일 수정 /bin/catalina.sh 파일을 ..

[CentOS] nohup 사용 방법
DevOps/Linux2022. 9. 29. 22:04[CentOS] nohup 사용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nohup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ohup nohup 은 No Hang Ups의 약자로 백그라운드로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nohup 은 실행을 현재 사용자 세션이 아닌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공간에서 실행을 한다. & 는 사용자 세션에서 실행되며, 화면 출력만 백그라운드로 전환한 상태입니다. 즉 & 로 실행된 프로세스는 사용자 세션이 로그아웃되는 시점에 같이 종료되는 것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할 때 터미널을 종료해도 애플리케이션은 계속 구동될 수 있도록 nohu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실행 기본 실행 nohup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합니다. nohup 으로 실행시킬 파일은 반드시 755 퍼미션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nohup [실행파일명]..

[CentOS] Hostname 변경 방법
DevOps/Linux2022. 9. 29. 22:02[CentOS] Hostname 변경 방법

리눅스에서 Hostname 등록 및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OSTNAME 등록 각 서버가 어느 서비스 인지 표현하기 위해 HOSTNAME을 변경합니다. 다음 명령어로 편집 파일을 엽니다. $ sudo vim /etc/sysconfig/network 편집 화면에서 HOSTNAME 항목을 본인이 원하는 서비스명으로 추가합니다. NETWORKING=yes HOSTNAME=hgko-webservice NOZEROCONF=yes 변경한 후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 sudo reboot 재부팅이 끝나고 나서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시 접속해 보면 HOSTNAME이 잘 변경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sh hgko-webservice 다른 HOSTNAME 등록 리눅스 버전에 따라 명령어가 다..

[CentOS] 타임존 변경
DevOps/Linux2022. 9. 29. 21:56[CentOS] 타임존 변경

타임존 변경 리눅스 서버 타임존이 UTC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세계 표준 시간으로 한국의 시간대가 아닙니다. 한국의 시간과는 9시간 차이가 발생하므로 서버에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시간도 모두 9시간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수정이 필요합니다. 서버의 타임존을 한국 시간(KST)ㅇ으로 변경하겠습니다. $ sudo rm /etc/localtime $ sudo ln -s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타임존 확인 date 명령어로 타임존이 KST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date 결과입니다. Fri May 27 08:18:19 KST 2022

[CentOS] Java 8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
DevOps/Linux2022. 9. 29. 21:54[CentOS] Java 8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

리눅스 환경에서 Java 8 버전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AVA 설치 yum을 이용해서 설치를 합니다. [root@localhost ~]# sudo yum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버전 변경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Java 버전을 8로 변경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선택 화면에서 Java8을 선택합니다(1 입력). [root@localhost ~]# sudo /usr/sbin/alternatives --config java 확인 현재 버전이 Java8로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root@localhost ~]#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8.0_312" [root@local..

반응형
image